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Bitmap
검색
검색
계정 만들기
로그인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기여
토론
wiki.kuzeent.com 도메인은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인텔 Quick Sync Video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목차] == 개요 == Quick Sync는 인텔이 개발한 미디어 인코딩용 디코더이다. == 상세 == Quick Sync는 2011년 인텔 샌디브릿지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CPU에서 처음 지원을 시작하였다. 품질보다는 성능과 속도를 중시하기 때문에 품질은 소프트웨어 인코딩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 이 기술을 사용하려면 외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따로 [[BIOS]]에서 iGPU 사용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활성화시키지 않으면 내장 GPU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Quick Sync 가능 또한 사용할 수 없다. 원컴 및 저사양 PC로 인터넷 방송을 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디코더이기도 하다. 엔비디아 그래픽 가속 디코더인 NVENC와 비슷하다고 보면 되지만 화질은 CPU 인코딩 대비 화질이 1.7배 정도 떨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NVENC도 1.4배가량의 화질 저하가 있고 게임하는 데 쓰는 GPU 이외의 다른 GPU를 사용하기 때문에 BJ/스트리머 입장에서는 게임 퍼포먼스가 더 좋아지므로 이득이다. 그리고 화질 문제는 비트레이트를 좀 더 올리면 어느 정도 해결된다. [[Adobe Premiere Pro]] CC 2019부터는 이 Quick Sync를 이용한 렌더링이 가능하다. 최종 내보내기 설정에서 Hardware Encoding[* 하드웨어 가속]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H.26x나 HEVC이외의 코덱으로 렌더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요약:
Bitmap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Bitmap: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내용 폭 제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