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Bitmap
검색
검색
계정 만들기
로그인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기여
토론
wiki.kuzeent.com 도메인은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ClockworkMod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include(틀:안드로이드 커스텀 복구 모드)] http://d.ibtimes.co.uk/en/full/1359668/install-android-4-4-kitkat-compatible-cwm-recovery-galaxy-s2-i9100-how.jpg http://www.technobuzz.net/wp-content/uploads/2014/03/CWM-Install-ZIP.jpg ▲ [[갤럭시 S3]]에서 CWM의 구동 사진 [목차] == 개요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복구나 ROM 설치,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안드로이드의 복구 모드이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을 써오면서 공장 초기화를 한 번이라도 해본 사람들은 배를 깐(?) 안드로이드 로봇이 누워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복구 모드라고 한다. https://azitech.files.wordpress.com/2013/02/p1040287.jpg 오류가 발생했을 때나 리커버리 모드에 진입을 하면 위 사진처럼 경고 표시가 뜨지만, 정상적일 때는 아래 사진처럼 뜬다. http://www.digitbin.com/content/uploads/Recovery-Mode-without-use-of-buttons.jpg CWM이 개발이 중단되어 요즘은 [[TWRP]]나 [[PhilZ Touch Recovery]]로 넘어가는 추세이다. == 특징 == CWM은 루팅, 공장 초기화 등의 기본적인 작업뿐만 아니라 새로운 버전의 운영 체제 설치, 파티션 관리, 권한 조정 등의 고급 작업도 가능하다. == 구성 == Odin3에서 사용되는 *.tar(.md5)이나 Flashify에서 사용되는 *.img 파일 중 recovery.img라는 파일을 볼 수 있을 텐데, 이것이 복구 모드 파일에 해당한다. == 파생 == === PhilZ Touch Recovery === http://dottech.org/wp-content/uploads/2015/01/PhilZ-Touch-Recovery1.jpg http://i1117.photobucket.com/albums/k590/ironass01/PhilZ1_zps255e7600.png 필즈라는 사람이 만든 CWM 기반 '''터치''' 리커버리. 말 그대로 '''터치'''를 지원하며, 여거 가지 트윅이 추가됐으며, CWM과 달리 Clean to install a new ROM이라는 메뉴가 추가되어 /data 파티션과 /system 파티션이 포맷된다. 다만 /data/media/ (내장 메모리) 는 포맷되지 않는다. === [[Team Win Recovery Project]] (TWRP) === http://www.theandroidsoul.com/wp-content/uploads/2013/12/TWRP-Recovery.jpg http://teckfreeks.com/wp-content/uploads/2014/03/twrp_recovery.jpg Team Win에서 만든 '''터치''' 리커버리. 이쪽은 거의 완벽한 [[GUI]]를 지원한다. 게다가 '''테마를 지원한다!''' * [[Cyanogen Recovery]] [[Cyanogen Recovery|항목 참조]]
요약:
Bitmap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Bitmap: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내용 폭 제한 전환